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Luma AI로 공간을 스캔해 3D 오브젝트로 추출하는 전체 과정

by justinfarm 2025. 7. 15.

Luma AI로 공간을 스캔해 3D 오브젝트로 추출하는 전체 과정

Luma AI를 활용한 실내외 공간 스캔과 3D 오브젝트 생성 방법은?

Luma AI는 실제 공간을 스캔하여 이를 3D 오브젝트로 변환할 수 있는
최신 AI 기반 모델링 솔루션입니다.
단순한 촬영만으로도 정밀한 3D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어
제품 디자인, 가상 공간 구축, 디지털 트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Luma AI를 단계별로 활용하는 전체 과정을
실제 팁과 함께 자세히 소개하겠습니다.


1단계: 공간 또는 물체 촬영

Luma AI를 사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스캔하고자 하는 공간이나 물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해 피사체 주위를 360도로 회전하면서
최소 20~30장의 사진이나 영상 클립을 촬영해야 합니다.
조명이 충분하고 표면 질감이 잘 보이는 환경에서
촬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단계: Luma AI에 데이터 업로드

촬영이 완료되면 앱 또는 웹 플랫폼을 통해
Luma AI 서버에 데이터를 업로드합니다.
이 과정에서 Luma의 딥러닝 알고리즘은
사진을 기반으로 3D 형상을 재구성하기 위한 포인트 클라우드를 생성합니다.
업로드는 안정성과 속도를 위해
Wi-Fi 환경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업로드 유형 특징
이미지 파일 품질이 높을수록 정밀도 향상
영상 파일 프레임 자동 추출로 간편 처리 가능

3단계: 자동 정렬 및 3D 재구성

3단계: 자동 정렬 및 3D 재구성

Luma AI는 업로드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정렬한 뒤,
이미지 간의 위치 관계를 계산하여 3D 메쉬를 생성합니다.
이 과정에서 AI는 표면 텍스처까지 재현하여
현실감 있는 3D 모델을 완성합니다.
복잡도와 이미지 품질에 따라
수 분에서 수십 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4단계: 3D 오브젝트 최적화

초기에 생성된 3D 모델은 데이터 용량이 클 수 있기 때문에
Luma AI는 자동으로 폴리곤 수를 줄이거나
파일 형식을 변경하는 최적화를 수행합니다.
이를 통해 AR/VR 환경, 게임 엔진, 웹 뷰어 등에서도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경량 오브젝트가 완성됩니다.

포맷 활용 분야
GLB 웹, AR 뷰어
USDZ iOS 기반 AR 앱
OBJ 3D 편집 소프트웨어 연동

5단계: 결과 확인 및 후처리

완성된 3D 오브젝트는
앱이나 PC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회전, 크기 조정, 배경 제거 등의
후처리도 가능합니다.
불필요한 배경이 포함된 경우에는
자동 마스킹 기능을 통해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6단계: 다양한 플랫폼으로 내보내기

6단계: 다양한 플랫폼으로 내보내기

최종 완성된 3D 오브젝트는
다양한 플랫폼으로 내보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사이트의 제품 뷰어,
VR 투어, 메타버스 환경 등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형식으로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특히 NFT 제작이나 디지털 콘텐츠 개발에도
유용하게 쓰입니다.


활용 팁: 스캔 품질을 높이는 방법

3D 모델의 품질은
처음 촬영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대상을 일정한 속도로 돌면서 촬영하고,
조명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사되거나 투명한 표면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자동 초점 기능을 끄고
수동 초점 또는 고정 초점을 사용하면
더 정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조건 결과에 미치는 영향
조명 균일성 표면 질감 표현 향상
카메라 안정성 흔들림 없는 선명한 이미지 확보
반복 촬영 누락된 각도 보완 가능